본문 바로가기

미시경제

재산세 5%~10% 할인 받는 꿀팁

2022년 재산세 납부가 7월 16일 부터 시작됬습니다. 재산세는 지방세 이고 많은 카드회사에서 무이자 할부 및 혜택 이벤트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etax(서울이면 stax) 앱을 깔아서 납부하는 방법이 가장 간편합니다.

 

 

2022년 재산세 할부 및 이벤트 제공 카드사 정리

삼성카드 : 2~3개월 무이자 할부 /6, 10, 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신한카드 : 납부금액의 0.17% 캐시백(체크카드)

우리카드 : 2~7개월 무이자 할부 /10~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현대카드 : 2~7개월 무이자 할부 /10~12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 M포인트로 대신 납부 가능
농협카드 : 2~6개월 무이자 할부 /10개월 부분 무이자 할부

롯데카드 : 50만원 이상 납부 시,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2잔


KB국민체크카드 20만 원 이상 납부 시 포인트리 3500점
KB국민신용카드 30만 원 이상 납부 시 스타벅스 카페라떼 1잔
KB국민신용카드 50만 원 이상 납부 시 스타벅스 가나슈케익 + 아메리카노 1잔

 

재산세 5%~10% 할인 꿀팁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는 재산세를 SSG머니(신세계)나 엘포인트(롯데) 등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 포인트로도 받고 있습니다.  이 중 SSG머니는 신세계 백화점상품권으로 충전 가능합니다.  상품권 거래소나 중고거래로  5~10% 할인된 가격에 백화점상품권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을 통해 그 만큼 절세할 수 있습니다. 단 이런 포인트를 쓸수 있는 연간 한도는 120만원 입니다.


절차

SSG PAY앱으로 신세계상품권 SSG MONEY로 충전 --> SSG MONEY를 STAX 마일리지로 전환하여 납부

 

주의할점

- 한번 충전 한도 50만원, 한달 충전 한도 100만원

- 연간 한도 120만원 

- 재산세는 7월 9월 두번 납부하므로 7월에 120만원 다 못쓰면 9월에 마져 쓰면 됨

 

 

출처)  서울경제


2022.07.14 - [부동산] - 종부세 개정 진행상황 (2022년 7월 14일)

 

종부세 개정 진행상황 (2022년 7월 14일)

오늘 신문기사에 나온 종부세 개정 관련 새로운 소식 정리해서 포스팅 합니다. 주택 수→가액 기준 과세 전환 & 세 부담 상한 조정 (21일 세법 개정안 발표 예정) - 종부세 과세 체계를 주택 수

chusechujo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