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 법률

2023년 4대보험 요율 계산 (간편계산기)

샐러리맨은 매달 받는 급여에서 자동으로 4대 보험료(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가 공제됩니다.  이번시간에는 2023년 적용되는 4대보험 요율에 대해 알아봅니다.

 

 

건강보험요율

- 2023년 건강보험요율은 7.09% (근로자 3.545% + 사업자 3.545%)  입니다. 2023년도에는 2021년 대비 0.1% 인상되어 7.090%에서 7.190%로 상승하였습니다

 

- 2023년 장기요양보험요율은 12.81% (근로자 6.405% + 사업자 6.405%)  입니다. 2023년도에는 2021년 대비 0.54% 인상되어 12.27%에서 12.81%로 상승하였습니다.

 

 

국민연금요율

- 2022년과 변동이 없으며, 국민연금사업장 가입자의 경우 2023년 국민연금 요율은 9% (근로자 4.5% + 사업자 4.5%) 입니다.

 

- 본인과 사업장의 사용자가 각각 절반씩, 즉 4.5%씩 부담합니다.

 

- 2023년 연금보험료 계산시 기준소득월액 상하안액

  • 상한액: 553만원
  • 하안액: 35만원

 

 

고용보험요율

- 고용보험은 사업주가 종사자의 급여에 대해 부담하는 보험료입니다. 

 

- 2023년 고용보험요율은 근로자 0.9%이고,  사업주는 0.9% 에 근로자 수등에 따른 추가 납부액이 발생합니다.

 

산재보험요율

- 산재보험요율은 업종에 따라 다릅니다. 산재보험은 근로자는 납부하지 않고 사업주만 납부합니다.

 

 

4대보험 간편계산기

- 국민연금 공단에서 제공하는 4대보험료 간편계산기에서 비과세금액을 제외한 신고소득월액만 입력하면 4대험료를 간편하게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 2023년부터 식대는 월 20만원(10만원에서 상향) 까지 비과세입니다.

☞ 4대보험료 간편계산기 바로가기

 

 

<함께보면 좋은 글↓↓>

 

2022.08.20 - [미시경제] -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 (ft. 미리 받는 경우)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 방법 (ft. 미리 받는 경우)

국민연금, 공무연금, 군인연금, 사학연금 등 많은 연금들이 있고 국민 고령화로 인해 연금시스템 개혁에 대한 말들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럴수록 내 미래의 연금이 어떻게 될지 불안이 높

chusechujong.tistory.com

 

2022.11.29 - [보험, 법률] -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 및 모의계산기 (2022.09 시행)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 및 모의계산기 (2022.09 시행)

2022년 9월 부터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2단계 개편안이 진행되었습니다. 건강보험 직장/지역 가입자간의 서로 다른 보험료 부과에 대한 형평성 문제, 고소득/고재산 피부양자의 무임 승차 문제를

chusechujong.tistory.com

 

2022.11.21 - [보험, 법률] - 강화된 건강보험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 요건 (2022. 11)

 

강화된 건강보험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 요건 (2022. 11)

2022년 하반기 부터 건강보험(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 조건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 이번시간에는 건강보험 의료보험 피부양자 자격조건이 어떻게 강화 되었는지 살펴 봅니다. 변경된 소득자격

chusechujong.tistory.com

 

2022.10.25 - [보험, 법률] - 2023년 최저임금은? (임금체불 신고방법, 임금 계산기)

 

2023년 최저임금은? (임금체불 신고방법, 임금 계산기)

이번시간에는 2023년 최저임금에 대해 알아봅니다. 최저임금 이란? - 국가에서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해둔 것으로, 근로자의 생계비, 노동생산성 및 소득분배율등을 고려하여 전 사업에 걸쳐 동

chusechujong.tistory.com